손익계산서를 볼 때 주요하게 봐야 할 것 두 가지. 바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입니다.
단순히 매출액만 보고 기업 규모를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그만큼의 매출을 일으키기 위해 과연 얼마큼의 비용을 들였는지를 따져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매출이 아무리 커봤자 광고비 등을 과도하게 써서 실제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라면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그렇기에 비용을 적절히 조절해 영업이익을 많이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용관리도 기업의 운용관리능력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목적은 기업운영을 잘하는 믿을만한 기업을 찾아내는 것인데 그러면 어떻게 그런 기업을 찾아낼 수 있을까요? 결론적으로 손익계산서를 봤을 때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기업을 찾는 것이 그 해결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했다 = 비용관리를 잘 했다 = 기업을 잘 운영하는 스킬이 있다 = 그 기업은 믿어볼 만하다.
매출액
- 매출원가
ㅡㅡㅡㅡㅡㅡㅡ
매출총이익
-판매비 및 관리비
ㅡㅡㅡㅡㅡㅡㅡ
영업이익
+영업외수익 (금융수익, 기타 수익)
- 영업외 비용 (금융비용, 기타 비용)
ㅡㅡㅡㅡㅡㅡㅡㅡ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법인세비용
ㅡㅡㅡㅡㅡㅡㅡㅡ
당기순이익
영업외 수익이란 말 그대로 영업과는 관련 없는 곳에서 얻은 수익을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과일가게 사장님이 과일판매(영업)와는 관련없는 부동산 투자나 주식투자 등에서 얻은 수익을 이야기합니다. 그러면 영업외 비용은 자연스럽게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즉 부동산 투자나 주식투자를 하는데 들어간 비용이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앞으로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보고 투자를 할지 말지 고민하게 될 텐데 어려운 계산 없이 가장 간단히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핵심적으로 봐야 할 것이 바로 영업이익이겠죠. (당기순이익은 법인세를 언제 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변수도 있으니 일단은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더 간단히 영업이익이 연속해서 마이너스가 나지 않았나를 살펴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해의 재무제표만 볼 것이 아니라 여러 해의 재무제표를 보고 영업이익이 어떻게 변동했나 살펴봅시다. 상식적으로 여러 해 연속으로 영업이익이 마이너스가 났다면 투자하면 안 되겠지요. 그러나 여기서 재미있는 점이 있습니다. 여러 해 동안 연속 적자가 났는데도 자본잠식(자본보다 부채가 더 많은 상태)으로 상장폐지가 되지 않고 여전히 주가를 올리며 살아남은 기업이 있다는 것입니다.
바로 증자를 통해 그것이 가능합니다. 적자가 난 것을 주주가 메꾸게 하는 방식이죠. 우리는 앞서 재무제표를 살펴봤기 때문에 절대 이 기업의 증자에 참여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재무제표를 살펴보지 않은 사람들은 그 기업이 주가를 띄우기 위해 낸 소문, 기사 등에 휘둘려 적자 기업의 적자를 앞다퉈 메꿔주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돌아오는 결과는 뻔하겠지요. 건실한 성장 기업에 투자했을 수도 있을 기회를 매번 마이너스만 내는 기업의 구멍을 막아주는 데 낭비해버리다니요. 이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선 우리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잘 살펴봐야 하겠습니다.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이야기 -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0) | 2021.02.22 |
---|---|
연금 - 벌써부터 준비해야할까(1) (0) | 2021.02.21 |
기업이 스스로 주식 가치를 떨어뜨린다고? - 유상증자 편 (0) | 2021.02.20 |
어디에 투자할지 실제 검색해볼까 (feat. 나만의 기준 세우기) (0) | 2021.02.19 |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해야하나. 살펴봐야할 것들. (0) | 2021.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