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11 공매도가 무엇일까? 공매도란 무엇일까요. 한자를 빌리자면 공매도의 공은 비어있다의 공 입니다. 즉 없다라는 이야기죠. 아무것도 없는데 그걸 매도한다? 도대체 무슨 이야기일까요. 내가 주식을 현재 가지고 있지도 않은데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면 믿어지시겠습니까? 그런데 그것이 가능합니다. 남이 가지고 있던 주식을 빌려와서 팔아버리면 되는 거니까요. 이것을 바로 공매도라고 합니다. 아니 남의 주식을 도대체 왜 빌려와서 마음대로 팔아버리고 이익은 내가 취하는 것일까요? 이것을 이해하려면 공매도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드리겠습니다. 1. 현재 A사의 주가가 흐름을 타고 급등해 도저히 내가 구매할 수 없는 금액인 100만원에 다다랐다고 가정합시다. 2. 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앞으로 A사의 주가는 크게 .. 2021. 3. 11. 공모주가 무엇일까 - SK바이오사이언스 3월 9일 어제 sk바이오사이언스 청약 첫날에 최대 청약자 수가 몰렸습니다. 가족 계좌까지 총동원되어 청약 건수도 폭발적으로 늘었다고 하는데요. 그럼 과연 초저금리 때의 가장 확실한 재테크라고도 여겨지는 공모주란 과연 무엇일까요. 공모주란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기 위해서 외부에 기업을 공개하고 주주에게 투자를 받은 만큼 나눠주는 주식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어떤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올라오면서 드디어 주식 거래가 가능하게 됐는데 이때 발행되는 주식을 바로 공모주라고 합니다. 이 갓 나온 주식, 공모주는 누구나 증권계좌만 있으면 청약이 가능하기에 공모주에 대해 아는 일반인들이라면 누구나 거래할 수 있는 것이라 경쟁이 치열해지기도 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과거 공모주의 수익률을 보면 2019년부터 2.. 2021. 3. 10. 환율이 움직이면 주가도 움직인다? 경제용어는 아무래도 그 정의를 이해하는 것만도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 다른 경제 용어들과의 관계 때문에서도 공부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는 만큼 보이게 된다고 열심히 공부해봐야겠지요. 오늘은 환율과 주가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환율이라면 달러와 연관되어 있는 것은 알겠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주가와는 또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보통 환율이 오르면 주가가 하락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 때 머릿속에 떠올려야 할 것이 바로 우리나라에 주식 투자하고 있는 외국인들입니다. 달러를 들고 있는 외국인의 입장에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외국인 A씨가 우리나라 주식 한주를 1000원에 사서 들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다 주식을 팔고 받은 원화를 달러로 바꾸려고 합니다... 2021. 2. 25. 채권 이야기 - 언제 팔고 언제 사야하나 향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방도로 미국 국채 금리를 올렸다는 뉴스가 들려옵니다. 한 줄에 벌써 국채, 금리, 인플레이션이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이 용어들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채권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채권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금리 이야기도 곁들이고자 합니다. 채권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기업이나 국가가 돈이 필요할 때 돈을 조달받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기업이 채권을 발행하면 회사채, 국가가 채권을 발행하면 국채(국고채)라고 합니다. 우선 기업의 채권 발행부터 알아볼까요? 기업이 사업을 위한 사업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보통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주식. 그리고 또 하나는 회사채(권)입니다... 2021. 2.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