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펀드를 자세히 알아보자

by jj0987 2021. 3. 6.
반응형

 펀드는 우선 주식보다는 안전하고 은행 예금보다는 수익이 좋은 상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정확히 펀드란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수익을 올리는 것일까요?

 

 일단 펀드를 하겠다는 목적 아래 여러 사람의 돈이 모여 자금이 만들어집니다. 그럼 이것을 펀드매니저가 투자할 수 있는 곳에 투자해 수익을 올려 투자자에게 투자한 비율만큼 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대신 투자자는 펀드매니저에게 대가로 수수료와 보수를 지불하게 되지요. 

 

 펀드는 보통 주식과 채권이 섞여있는 묶음상품의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식비중이 높은 편인 펀드는 주식형 펀드, 채권 비중이 높은 펀드를 채권형 펀드, 주식과 채권의 비율이 비슷하게 이뤄진 펀드는 혼합형 펀드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꼭 주식과 채권이 아니더라도 금이나 해외주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펀드도 있지요. 

 

그 펀드가 어떤 성격의 상품들로 이루어질 지는 펀드매니저들이 일하고 있는 자산운용사에서 결정해 각종 펀드들을 만들어냅니다. 우리들은 각 펀드를 살펴보면서 대략 어떤 성격의 상품을 담고 있는 펀드인가를 살펴보게 되는 것이지요. 만약 안전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다면 채권 비중이 높은 채권형 펀드를, 공격적인 투자성향을 가지고 있다면 주식비중이 높은 주식형 펀드를 선택하시게 될 것입니다. 

 주식이나 펀드 말고 다른 상품에 관심이 있다면 그 상품을 담고있는 펀드를 찾아보시게 될 것이고요. 

 

그럼 내가 지금 보고 있는 펀드가 어떤 상품을 담고 있는 것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펀드의 이름을 보고 확인하시면 됩니다. 펀드는 꽤 긴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름을 끊어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운용회사 이름 + 투자지역 + 투자전략 + 펀드 종류 + 비용체계

 


S에셋 미국IT 증권투자신탁 주식 Ae라는 펀드 이름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럼 이 펀드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요. 

 

S에셋이라는 운용회사미국 IT기업펀드로 투자를 하는데(증권투자신탁과 같은 말입니다) 주식비중이 높은 펀드라는 의미가 됩니다. 마지막 Ae는 비용을 이야기하고요. 

 

펀드의 비용은 크게 A, Ae, C, Ce 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A의 의미는 펀드를 살 때 내는 선취수수료가 높고 펀드를 보유하면서 내게 되는 보수는 다소 낮은 형태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C는 선취수수료는 낮은 대신 보수가 높은 펀드를 의미하고요.

 A나 C에 붙어있는 e의 의미는 온라인전용펀드라는 말입니다.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으로만 펀드 구매가 가능하단 것이지요. 대신 오프라인 펀드보다는 비용이 저렴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특이점은 펀드를 내가 지금 매수한 다하더라도 바로 내 계좌에 펀드가 생기는 것이 아니란 것입니다. 

펀드를 매수한 시점과 실제 내 계좌로 펀드가 표시되는 것에는 시간차가 존재한다는 것인데요. 외국펀드일수록 이 시간차는 크게 나타납니다. 

 

장마감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차가 발생하는데요. 만약 국내 펀드를 매수하셨다면 국내 장 마감시간인 오후 3시 반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매수했다면  실제 내 계좌로 펀드가 들어오는 것은 그다음 날이 될 것이고요. 만약 3시 반 이후에 매수했다면 펀드가 실제 내 계좌로 들어오는 건 그 다다음날이 될 것입니다. 

 

펀드를 파는 것은 조금 더 복잡한데요. 

 

 월요일 3시에 펀드를 매도했다면 화요일의 펀드 가격으로 매도가 이뤄지게되고 매도금이 내 계좌로 들어오는 날은 목요일이 될 것입니다. 

 만약 월요일 4시에 펀드를 매수할 시 펀드의 매수가격이 정해지는 건 수요일이고 목요일에 내 계좌로 펀드가 들어오는 것이고요. 

 

 

반응형

댓글